제조-인프라 산업의 생산공정 최적화, 운영업무 개선, 사업 시스템 개발 및 테스트 업무개선 및 사업위험 경감 방안으로서 서비스가상화 기술 활용사례
2014-02-27
2013-10-02
IT 트랜스포메이션 목표와 엔터프라이즈 데브옵스
최근 2-3 년간 사업 환경에는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스마트폰, 소셜 네트웍 서비스가 크게 유행 하고 있고, 커뮤니케이션과 정보 전달의 속도가 빨라지면서고객의 요구는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시장의 변화는 점차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과거보다 제품과 서비스의 상용화를 더욱 서두르는 추세고, 동시에 서비스 차별화를 요구 받고 있습니다. 글로벌에서는 구조조정과 부채비율 감축 노력이 계속 진행되고 있고, 새로운 금융정보와 개인정보 보호 관련 규제들과 IT 컴플라이언스가 점차 강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IT 조직은 이러한 사업 환경의 변화와는 다소 동떨어지게 전통적인 IT 부서 관행에 따라서 운영 되어 왔고, 사업과의 단절이 심화되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사업환경이 변화 함에 따라서 IT 도 발 맞춰 갈 것을 요구 받고 있는데, 바로 조직내에서 CIO/IT 의 위상이 변화되어 가는 것을 그 결과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과거에는 단순히 사업 지원 역할 정도를 바랬다면, 지금은 IT 기술에 대한 통찰력과 전략적인 리더쉽을 발휘하고 균형적으로 조율하는 역할을 바라고 있습니다. 즉, 모바일, 소셜 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 오퍼링을 내놓을 때에는 보다 혁신적이고 Risk Taking 에 과감한 벤쳐 투자자로서의 면모와 동시에 기 구축된 애플리케이션과 인프라 운영 통합을 추진하여 비용 절감에 주력해야하는 두개의 서로 상반된 역할을 기대 받고 있습니다. 동시에 IT 는 기본적으로 조직내에서 관계 관리자로서 LOB 전반에 협업을 이끌어 나가야 합니다.
이러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최근 글로벌 리서치들이 성공적인 IT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즉, 사업성과에 지향하여 조직과 역할을 개편하는 것, LOB (Line of Business) 단위의 조직 모델에서 수평적 역할 모델로 확장해 가는 것 그리고 새로운 IT 직무를 통해서 사업에 더욱 밀착된 관계를 형성하는 것 등을 전략으로 제시하였습니다.
IT 트랜스포메이션의 궁극적인 목표는 신속한 IT 혁신을 통한 사업혁신 지원과 신속한 딜리버리를 통한 IT 비용의 절감입니다. 이러한 전략으로부터 트랜스포메이션 목표에 성공적으로 도달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IT 서비스 딜리버리 체계의 도입이 필요합니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는 IT 서비스 딜리버리 체계가 바로 엔터프라이즈 데브옵스 입니다
성공적인 IT 트랜스포메이션 목표 실현을 위한 실행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계속>
그러나 IT 조직은 이러한 사업 환경의 변화와는 다소 동떨어지게 전통적인 IT 부서 관행에 따라서 운영 되어 왔고, 사업과의 단절이 심화되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사업환경이 변화 함에 따라서 IT 도 발 맞춰 갈 것을 요구 받고 있는데, 바로 조직내에서 CIO/IT 의 위상이 변화되어 가는 것을 그 결과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과거에는 단순히 사업 지원 역할 정도를 바랬다면, 지금은 IT 기술에 대한 통찰력과 전략적인 리더쉽을 발휘하고 균형적으로 조율하는 역할을 바라고 있습니다. 즉, 모바일, 소셜 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 오퍼링을 내놓을 때에는 보다 혁신적이고 Risk Taking 에 과감한 벤쳐 투자자로서의 면모와 동시에 기 구축된 애플리케이션과 인프라 운영 통합을 추진하여 비용 절감에 주력해야하는 두개의 서로 상반된 역할을 기대 받고 있습니다. 동시에 IT 는 기본적으로 조직내에서 관계 관리자로서 LOB 전반에 협업을 이끌어 나가야 합니다.
이러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최근 글로벌 리서치들이 성공적인 IT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즉, 사업성과에 지향하여 조직과 역할을 개편하는 것, LOB (Line of Business) 단위의 조직 모델에서 수평적 역할 모델로 확장해 가는 것 그리고 새로운 IT 직무를 통해서 사업에 더욱 밀착된 관계를 형성하는 것 등을 전략으로 제시하였습니다.
IT 트랜스포메이션의 궁극적인 목표는 신속한 IT 혁신을 통한 사업혁신 지원과 신속한 딜리버리를 통한 IT 비용의 절감입니다. 이러한 전략으로부터 트랜스포메이션 목표에 성공적으로 도달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IT 서비스 딜리버리 체계의 도입이 필요합니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는 IT 서비스 딜리버리 체계가 바로 엔터프라이즈 데브옵스 입니다
성공적인 IT 트랜스포메이션 목표 실현을 위한 실행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성과 중심의 IT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새로운 IT 서비스 딜리버리 체계 도입
- Application Delivery Lifecycle 관리 역량 수준 제고
- Application Delivery Lifecycle 최적화 및 Time-to-market 가속화
<계속>
2013-09-17
데브옵스 (DevOps) 란
데브옵스란 본래 스타트업 벤쳐들의 일하는 방식으로서, Development, 개발과 Operations, 운영의 소통과 협업을 촉진시켜 혁신의 속도를 빠르게 하는 점을 전통적인 IT 조직에 적용하여 스타트업의 혁신을 재현하고자 하는데서 출발합니다.
2009-10 년 즈음에 스타트업과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2012 년을 기점으로 엔터프라이즈 IT 영역에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 IT 의 혁신이 사업의 혁신 속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최근의 트렌드를 반영한 ‘IT 의 일하는 방식’으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고객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IT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은 고객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서비스 개발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발-관리해야 한다는 압박을 끊임없이 받습니다. 실제로 모든 조직은 IT 비용 증가 없이 좀 더 빠르게 그리고 더욱 뛰어난 성능과 품질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원합니다. 그러나 운영 환경으로 변경사항을 전달을 위해서 작업 결과가 수주 또는 수개월 동안 개발과 운영간 조율되어야 하기 때문에 운영이관 또는 릴리즈라는 “거대한 벽”으로 격리되어 존재합니다.
또한 결함으로 인한 장애 또는 성능 저하, 비즈니스 로직상의 오류 발생시 운영 조직에서는 루트 Cause 를 제대로 파악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는 서비스 다운타임, 추가적인 인프라 구매, 개발 팀의 방대한 재작업을 초래합니다. 오랜기간, IT 의 당연한 관행이라고 생각해왔지만 느린 IT 라는 오명과 함께 고비용, 저품질의 위험이 상존하는 구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데브옵스는 개발 팀과 운영 팀 간의 협력적이고 생산적인 관계를 촉진합니다. 데브옵스란 간단히 말해서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IT 운영 기능을 통합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소프트웨어를 릴리스하여 사업에 적시 대응하고 나아서 비즈니스 성과를 지원하는 것입니다.
데브옵스가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특정 벤더 제품을 위한 시장이 아닌 하나의 동향으로 인식되어야 한다는 점에 반드시 유의해야 합니다. 데브옵스 환경에 배치되는 개발도구와 빌드도구, 이슈트랙커, 형상관리 도구 등은 국내 시장에서도 정착되어 일반화된지 오래이므로, 이들 간의 간극을 효과적으로 보완하여 보다 자동화된 방법으로, 유기적인 연계를 지원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그리하여 지속적인 피드백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딜리버리가 가능하게되는 데브옵스 목표에 도달하게 하는 것입니다. 즉, 저비용, 고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사업요구에 적시대응하는 선순환 구조에 이르게 하는 것입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